OSI 7 계층
- Physical Layer (물리 계층)
데이터를 실제로 전기 신호, 광 신호 등 물리적인 형태로 변환해 전송
케이블, 리피터, 허브 등 물리 장비가 해당됨
전송 단위: 비트(Bit) - Data Link Layer (데이터링크 계층)
물리 계층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의 오류 감지와 수정, 흐름 제어 수행
오류 감지 및 수정, 제어를 위해 프레임 생성, MAC 주소 기반 통신(MAC 주소는 네트워크 장치(PC, 휴대폰, 프린터 등)의 고유 식별번호)
전송 단위: 프레임(Frame) - Network Layer (네트워크 계층)
IP 주소 기반으로 목적지까지 패킷을 전달
최적의 경로 선택(Routing), 논리적 주소 지정
전송 단위: 패킷(Packet) - Transport Layer (전송 계층)
종단 간(End-to-End)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제공
오류 검출, 재전송, 흐름 제어, 순서 제어 수행
이 계층의 프로토콜에는 TCP/UDP가 있음
전송 단위: 세그먼트(Segment) (TCP) / 데이터그램(Datagram) (UDP) - Session Layer (세션 계층)
두 응용 프로그램 간 세션(논리적 연결)을 설정, 유지, 종료(논리적 연결 서비스 제공)
대화 제어, 동기화, 세션 복구 등의 기능을 수행
전송 단위: 데이터(Data) - Presentation Layer (표현 계층)
데이터의 표현 방식(문자 인코딩, 압축, 암호화 등)을 공통된 형식으로 변환
응용 계층이 데이터를 이해할 수 있도록 형식/문자셋 등을 맞춰줌
전송 단위: 데이터(Data) - Application Layer (응용 계층)
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도록 응용 서비스(예: 웹, 이메일 등)를 제공
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계층으로, 실제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부분
전송 단위: 데이터(Data)
TCP/IP 4계층
- Network Layer (네트워크 계층)
Node 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담당
알맞은 하드웨어로 데이터가 전달되도록 MAC주소를 핸들링하고,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전달할 수 있게 준비
전송 단위: 프레임(Frame)
OSI 7계층 중 물리, 데이터링크 계층의 역할을 수행 - Internet Layer (인터넷 계층)
I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패킷에 출발지와 목적지 주소를 부여
라우팅을 통해 최적의 경로로 데이터를 전송
IP는 패킷 전달 여부를 보증하지 않고, 최대한 빠르게 전송
전송단위: 패킷(Packet)
OSI 7계층의 네트워크 계층과 대응 - Transport Layer (전송 계층)
TCP/UDP 프로토콜을 통해 종단(End-To-End) 간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 확보
데이터의 순서 확인, 누락된 데이터 재요청, 오류 제어 등 수행
전송 단위: 세그먼트(Segment)
OSI 7계층에서 전송 계층과 대응 - Application Layer (응용 계층)
HTTP/FTP 등 응용 프로토콜이 작동하는 계층
사용자가 직접 사용하는 서버/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이 위치
전송 단위: 데이터(Data)/메세지(Message)
OSI 7계층의 세션, 표현, 응용 계층이 해당
'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네트워크] 계층 정리 (0) | 2025.05.09 |
---|